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산업안전기사

2022년 3회 산업안전기사 2주만에 필기 cbt 합격후기(feat.일산공인시험센터)

by a380-900 2022. 7. 16.

작년에 진작 따둘걸 후회되는 산업안전기사 필기후기.

이번 회차부터 필기는 CBT 방식으로 바뀌었는데, 너무 편하고 좋았다.

시험장

나는 일산 공인센터에서 오전에 시험을 봤다.

8시 40분까지 입실인데, 딱맞춰서 가는게 좋다

일찍가도 기다릴곳이 없어서 1층에서 기다리다가 시간 맞춰서 9층으로 올라갔다.

음료 반입안됨.

수험표에 허용되는 계산기 기종이 있다.

산업안전기사는 간단한 계산이 있어서 계산기가 필요하나,

기출문제를 전부다풀고다외웠다면 웬만한 계산문제는 계산기없이 풀수있을 것 같다. 문제은행식으로

나오는 문제도 많기 때문에.

그리고 내가 공학용계산기를 너무 오랜만에 써서, 감독관님 보는 앞에서 리셋해야하는데 

할줄을 몰라서 감독관님이 시키는대로 했는데, 됐는지는 모르겠다.

 

준비물

신분증, 필기도구, 계산기, 수험표

(근데, 수험표가 필요한 순간(?)은 없었다. )

그리고 연습종이는 필요하면 나눠주시고, 연습종이는 퇴실할때 제출해야한다.

 

결과:합격 (평균 78)

안전관리론   60

인간공학및시스템안전공학  90

기계위험방지기술  85

전기위험방지기술  65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0

건설안전기술  90

 

시험 및 CBT 후기

컴퓨터로 문제를 풀고 제출하면 바로 합격여부를 알 수 있어서 좋다!.

다 푼사람은 그냥 퇴실하면 된다.

내가 풀지 않은 문제갯수도 알 수 있고, 바로 확인도 가능하다.

그리고 프로그램 자체 계산기(기본계산만되는듯) 를 사용할 수 있다.

그냥 편하다........ 문명의 발달을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시험을 컴퓨터로 보는건 참 좋다.

그리고 ㄱ,ㄴ,ㄷ,ㄹ 중에 옳은 것 모두 고르기... 이런 문제 2문제? 정도 봤는데 ...

이런거 너무 싫다....

또, 분명 봤던 문제인데 기억안나는 것도 있어서 무조건 반복학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시험공부법

고시넷 산안기 필기책, 어플 2개 이용.

나는 기출문제만 돌리는 스타일

그래서 어플 2개를 다운받았고, 

안전관리시험기출 이라는 어플을 많이 이용했다.

과목별로 20문제씩 풀고 채점이 가능하다.

회차기준으로 볼수도 있다.

근데 어플 2개다 해설은 없다.

산안기는 총 6과목 120문제라서 나처럼 집중력 없는 사람들은 책보고 한 회 풀려면 하루종일 걸린다....

 

나는 시험 11-12일 정도 남은 상태에서 시작했고, 하루에 한과목만 공부했다.  

20문제 풀고, 해설은 책으로 보고 , 20문제 풀고 해설보고 반복했다. 하루에 6년치(120문제) 풀려고 노력했다.

근데 나는 진~짜 집중력이 안좋아서 겨우 120문제 푸는 것도 오래걸려서 120문제 못푼날도 있다ㅋㅋ

어쨌든 그날 공부 대충끝내면 자기전에 누워서, 차타고 가면서 등등 핸드폰으로 문제풀고 틀린거 다시보고 하면서

외웠다.

매회 새로운문제도 나오지만 반복적으로 나오는 문제도 있기때문에.

풀었던 문제만 완벽히 외워가면 웬만하면 합격이다.

이 어플은 2015년부터 21년까지 기출만 있고.

 

 

이건 또 다른 산업안전기사 어플인데,

이거는 완전 옛날꺼부터 2018년까지있다.

근데 이거는 과목별로 풀기에 불편한 스타일이어서

2012, 2013, 2014년 기출만 이 어플로 풀었다.

그나마 다행인건 이렇게 문제를 빠르게 넘겨볼수있다는거....

 

 

산안기 교재 고시넷 기출문제집

내가 왜 이걸 샀는지는 모르겠지만, 산안기 책이 다 거기서 거기인것 같아서

큰 고민안하고 샀다.

일단 대부분 책이 그렇듯이 문제 아래 해설이 바로 있음.

좋은 점은 문제마다 몇년도 기출에서 나왔는지 써있어서

빈출문제인지 알수있다. 

 

근데 실기 시험 10월 중순인데,, 넘 늦다,,

하여튼.. 산안기 필기는 조금만 열심히 하면 금방 딴다. 

필답형이랑 작업형이 문제... 계산문제 거의 없이 무작정 외워야해서...

 

하여튼 산안기 필기팁은

무조건 기출 돌리고,, 한 10회 이상 기출 풀었으면, 자꾸 새로운문제 풀기보다는

회독을 하는게 유리할듯.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