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35

온실가스관리기사 22년 4회 실기 독학 합격!! 온실가스관리기사 22년 4회 합격자 발표가 22년 12월 30일이었던것 같은데, 난 어차피 떨어졌다 생각했고 , 여행 중이어서 잠시 잊고 있었다. 3일 뒤 큐넷 어플 들어가봤는데 65점으로 합격했다!!!! 사실 공부 거의 안했고 시험 1-2주 전에 면접이 있어서 포기상태였다. 그래서 시험 보러갈까말까 하다가 문제 뭐 나오는지 보러가자는 마음으로 갔다. 생각보다 아는 문제 들이 좀 있어서 풀어봤는데, 시험보고 나와서 정답 확인해보니까 기본적인거 다 틀렸음… A, B, C 탄소배출량 기준이라던가.. 모니터링 유형 FL 그리는 문제에 F라고 쓰고.. 진짜 시험 전에 제일 중요한게 안다고 생각하는 기본적인 내용 한번더 꼼꼼히 보는 거!! 반도체 부분 배출량 산정하는 것도 풀어봤던 건데 틀리고,, 하여튼… 이건 .. 2023. 1. 3.
2022년 11월 19일 온실가스관리기사 4회차 필답문제(실기) 총 3시간 총 시간의 1/2 경과후 퇴실 가능 요새 바빠서 온실가스 공부를 못(+안)해서.. 시험장 안가고 늦잠이나 잘까하다 다녀와봄... 광탈 좀만 더 공부했으면 됐을텐디 ;; 1. 계산문제 연간 전력사용량을 바탕으로 연간 온실가스배출량 계산 LINE1, LINE2 각각 더해서 배출계수 곱하긔? ◎ 요소수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구할 때 기본 배출계수는? (소수점 4자리까지 반올림) ◎ 경유 3000L, LNG 2000Nm3 사용하는 사업장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c-C4F8 99톤 사용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 (GWP8700) ◎ 표에서 직접배출과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항목별로 온실가스 배출량 더하기 ◎ 석유정제공정에서 보고대상 배출시설 3가지 (촉매재생시설, 코크스 제조.. 2022. 11. 19.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정리8 (배출활동별 보고대상 온실가스) [별표 1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제87조 관련) 1. 보고대상 : CO2, CH4, N2O - 고정연소(고체연료, 기체연료, 액체연료) - 이동연소(항공, 도로, 철도, 선박) - 폐기물의 소각 - 기타온실가스배출(식각, 증착 시설에서의 N2O 등 non-FC 가스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2. 보고대상 : CO2 - 시멘트 생산 - 석회 생산 -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 - 유리생산 - 인산 생산 - 석유정제활동 - 암모니아 생산 - 소다회 생산 - 아연 생산 - 납 생산 - 마그네슘 생산의 1차 생산 공정 - 연료전지 - 기타온실가스 배출(요소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아세틸렌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황연제거설비의 탄화수소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2022. 11. 3.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7 1. 배출량 산정 계획 작성 원칙(모니터링계획서 작성시) ① 준수성 배출량 산정 계획은 배출량 산정 및 배출량 산정 계획 작성에 대한 기준을 준수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② 완전성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 내 모든 배출시설의 배출활동에 대해 배출량 산정 계획을 수립·작성하여야 한다. 모든 배출원이란, 신·증설, 중단 및 폐쇄, 긴급 상황 등 특수상황에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③ 일관성 배출량 산정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배출시설의 구분은 가능한 한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④ 투명성 배출량 산정 계획은 동 지침에서 제시된 배출량 산정 원칙을 준수하고, 배출량 산정에 적용되는 데이터 및 정보관리 과정을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작성되.. 2022. 11. 1.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6 1. 배출량에 따른 시설 규모 분류 ① A 그룹 : 연간 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② B 그룹 : 연간 5만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③ C 그룹 :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 2. 확장불확도 합성불확도에 신뢰구간을 특정짓는 포함인자를 곱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포함인자 값은 관측값이 어떤 신뢰구간을 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3. 바이오매스의 정의 재생가능한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는 생물자원 및 생물자원을 이용해 생산한 연료를 의미한다. 농업작물(유채, 옥수수, 콩, 사탕수수, 고구마 등), 농임산부산물(임목 및 임목부산물, 볏짚, 왕겨, 건초, 수피 등), 유기성폐기물(폐목재, 펄프 및 제지(바이오매스 부문만 해당), 펄프 및 제지슬러지, 동/식물성 기름, 음식물쓰레기, 축산 분뇨, 하수.. 2022. 10. 29.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5 1902 1. 탄소 100톤에 대한 이산화탄소 상당량을 구하시오 (단, 산화계수1) C + O2 → CO2 100tC * 44tCO2/12tC = 366.667tCO2 1902 2. 고상폐기물을 소각할 때 CO2 배출량 산정방법에서 "FCF"의 의미를 쓰고, 폐기물의 성상이 나무류, 목제품류, 음식물류일 때 FCF=0인 이유를 기술하시오. ① 화석탄소 질량 분율(함유율), 폐기물의 화석연료에서 기인한 탄소함량비로 0에서 1 사이의 소수를 가진다. ② 바이오매스 폐기물(음식물류, 목재류 등)의 소각에 의한 CO2 배출은 원료 및 가공과정에서 CO2 흡수를 산정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과정에서 CO2 배출은 산정하지 않는다. - 책에 있는 답 [별표16]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 2022.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