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산업안전기사

[내가보려고]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1년3회

by a380-900 2022. 10. 5.

1.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크기, 높이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를 착공하려는 경우, 건설공사를 착공하려는 사업주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할 때 건설안전 분야의 자격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자격을 갖춘 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대상 건설공사 4가지를 쓰시오.

 

유사문제/1901/

2. (5) 산업용 로봇의 작동범위 내에서 해당 로봇에 대하여 교시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해당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련지침을 정하여 그 지침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에 관한 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5가지를 쓰시오.

(단, 그 밖에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동작에 의한 위험 방지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제외)

유사문제/1703/

3. (3) 안전난간대 구조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상부난간대 :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①)cm 이상
- 난간대 : 지름 (②)cm 이상 금속제 파이프
- 하중 :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③)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4.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융고열물을 취급하는 설비를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하는 조치 2가지를 쓰시오.

유사문제/1601/

5. (4) 화물의 낙하에 의하여 지게차의 운전에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 사용된 헤드가드가 갖추어야 하는 사항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①)배 값 (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본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②)cm 미만일 것  

유사문제/1603/

6. (5)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실시하는 코드와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5가지를 쓰시오.

유사문제/1803/1302

7. (4) (MIL-STD-882B) 시스템 위험성 분류의 위험강도 4가지를 쓰시오.

유사문제/1603/

8.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정밀작업의 조도기준

유사문제/2003/1701/

9. (5) 다음을 보고 종합재해지수를 구하시오. (단, 소수 넷째자리에서 반올리해서 소수 셋째자리까지 쓰시오.)

- 작업자수 : 500명
- 연근무시간 : 2400시간
- 연간재해발생건수 : 210건
- 근로손실일수 : 900일

10. (3) 분리식 방진마스크의 포집효율을 쓰시오. (형태 및 등급/ 염화나트륨(Nacl) 및 파라핀 오일 시험(%))

- 분리식 방진마스크 특급: ( ① ) 이상
- 분리식 방진마스크 1급 : ( ② ) 이상
- 분리식 방진마스크 2급 : ( ③ ) 이상

유사문제/1502

11.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록 작성사항 3가지를 쓰시오.(그 밖의 토의사항 제외)

유사문제/1802

12.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가스장치실을 설치해야하는데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유사문제/2001/
13. (3) 산업보건법령상, 달비계에 사용할 수 없는 달기체인 기준 3가지를 쓰시오.

14. (3) 인간의 주의의 특성 3가지를 쓰시오.

 


<정답>

1.

  제42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크기 높이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를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ㆍ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이라 한다) 공사

 가.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나.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1)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ㆍ식물원은 제외한다)

  2)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3) 종교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5)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6) 지하도상가

  7) 냉동ㆍ냉장 창고시설

 

2.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 최대 지간(支間)길이(다리의 기둥과 기둥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50미터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4. 터널의 건설등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 댐의 건설등 공사

6.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2.

1. 다음 각 목의 사항에 관한 지침을 정하고 그 지침에 따라 작업을 시킬 것

 가.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나.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다. 2명 이상의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킬 경우의 신호방법

 라. 이상을 발견한 경우의 조치

 마. 이상을 발견하여 로봇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 이를 재가동시킬 경우의 조치

 

3. 90, 2.7, 100

출처:구글검색, 안전난간대

 

4.

제249조(건축물의 구조) 사업주는 용융고열물을 취급하는 설비를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바닥은 물이 고이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2. 지붕ㆍ벽ㆍ창 등은 빗물이 새어들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5. 2, 16

출처:구글검색,지게차

 

6.

- 코드와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 기계ㆍ기구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가.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볼트를 넘는 것

  나. 냉장고ㆍ세탁기ㆍ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고정형 전기기계ㆍ기구

  다. 고정형ㆍ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계ㆍ기구

  라. 물 또는 도전성이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ㆍ기구, 비접지형 콘센트

  마. 휴대형 손전등

 

7.

   1단계 : 파국적 catastrophic
   2단계 : 위기적 critical
   3단계 : 한계적 marginal
   4단계 : 무시가능 negligible

 

8.

제8조(조도)

사업주는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조도)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갱내(갱내) 작업장과 감광재료(감광재료)를 취급하는 작업장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초정밀작업: 750럭스(lux) 이상

 2. 정밀작업: 300럭스 이상

 3. 보통작업: 150럭스 이상

 4. 그 밖의 작업: 75럭스 이상

 

9.

종합재해지수 = √(강도율*빈도율) = √0.75*175 =11.456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 1000

            = 900/(500*2400) * 1000 = 0.75

도수율(빈도율) = 연간재해발생건수 / 연근로시간수 * 1000000

                         = 210 /(500*2400)*1000000 = 175

 

10.

특 급 99.95 이상
1 94.0 이상
2 80.0 이상

 

11.

제37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 등)   제24조제3항에 따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회의는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구분하되, 정기회의는 분기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장이 소집하며,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소집한다.

④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록한 회의록을 작성하여 갖추어 두어야 한다.

 1. 개최 일시 및 장소

 2. 출석위원

 3. 심의 내용 및 의결ㆍ결정 사항

 4. 그 밖의 토의사항

 

12.

제292조(가스장치실의 구조 등) 

사업주는 가스장치실을 설치하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1. 가스가 누출된 경우에는 그 가스가 정체되지 않도록 할 것

 2. 지붕과 천장에는 가벼운 불연성 재료를 사용할 것

 3. 벽에는 불연성 재료를 사용할 것

출처:구글검색, 가스장치실

 

13.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달기 체인을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퍼센트를 초과한 것

 나.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퍼센트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다.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출처:구글검색, 달기체인

 

 

14.

  • 선택성 : 주의력의 중복집중 곤란
  • 변동성 : 주의력의 단속성- 고도의 주의는 장시간 지속불가
  • 방향성 : 한 지점에 주의를 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진다. 공간적으로 시선에 초점이 맞으면 쉽게 인지되지만 벗어난 부분은 무시되기 쉽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