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2
1. 탄소 100톤에 대한 이산화탄소 상당량을 구하시오 (단, 산화계수1)
C + O2 → CO2
100tC * 44tCO2/12tC = 366.667tCO2
1902
2. 고상폐기물을 소각할 때 CO2 배출량 산정방법에서 "FCF"의 의미를 쓰고, 폐기물의 성상이 나무류, 목제품류, 음식물류일 때 FCF=0인 이유를 기술하시오.
① 화석탄소 질량 분율(함유율), 폐기물의 화석연료에서 기인한 탄소함량비로 0에서 1 사이의 소수를 가진다.
② 바이오매스 폐기물(음식물류, 목재류 등)의 소각에 의한 CO2 배출은 원료 및 가공과정에서 CO2 흡수를 산정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과정에서 CO2 배출은 산정하지 않는다. - 책에 있는 답
[별표16]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단, 바이오매스 폐기물(음식물, 목재 등)의 소각으로 인한 CO2배출은 생물학적 배출량이므로 배출량 산정 시 제외
1902
3. 리스크의 종류 3가지
①고유리스크 : 검증대상의 업종 자체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업종의 특성 및 산정방법의 특수성 등)
②통제리스크 : 검증대상 내부의 데이터 관리구조상 오류를 적발하지 못할 리스크
③검출리스크 : 검증팀이 검증을 통해 오류를 적발하지 못할 리스크
4. 이동연소 배출활동(보고 대상 배출시설)
1. 항공
① 국내항공
② 기타항공
2. 도로
① 승용 자동차
② 승합 자동차
③ 화물 자동차
④ 특수자동차
⑤ 이륜자동차
⑥ 비도로 및 기타 자동차 (건설기계, 농기계 등 비도로 차량 등)
3. 철도
① 특수차량
② 고속차량
③ 전기기관차
④ 전기동차
⑤ 디젤기관차
⑥ 디젤동차
4. 선박
① 수상항해
② 국내항해
③ 어선
④ 기타
5. 전자산업 보고대상 배출시설중 화학기상 증착법에 대해 설명
반도체 공정에 주로 이용되는 화학기상증착법(CVD)은 기체, 액체 혹은 고체상태의 원료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위에 고체 반응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자격증 > 온실가스관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7 (0) | 2022.11.01 |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6 (1) | 2022.10.29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4 (0) | 2022.10.27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3 (0) | 2022.10.26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2 (0) | 202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