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4
1. 매개변수의 정의
매개변수란 두 개 이상의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활동자료, 발열량, 배출계수, 산화율, 탄소함량 등을 말한다.
2104
2. 산정등급 분류체계에 대한 산정방법론을 작성하시오.
① Tier 1 : 활동자료, IPCC 기본배출계수(기본산화계수, 발열량 등 포함)를 활용하여 배출량 산정하는 기본방법론.
② Tier 2 : Tier1보다 정확도가 높은 활동자료로, 국가 고유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 부분에 대한 시험·분석을 통해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③ Tier 3 : Tier1, Tier2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로, 사업자가 사업장·배출시설 및 감축기술단위의 배출계수 등 상당 부분에 대한 시험·분석을 통해 개발하거나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은 매개변수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④ Tier 4 :굴뚝자동측정기기 등 배출가스 연속 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
2104
3. 불확도와 베이스라인 배출량의 정의
① 불확도 :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결과와 관련하여 정량화된 양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정도
② 베이스라인 배출량 :외부사업 사업자가 외부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사업경계 내에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
4.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절차 7단계
① 1단계 - 조직경계의 설정
② 2단계 -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③ 3단계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 설정
④ 4단계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⑤ 5단계 -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 선택
⑥ 6단계 - 배출량 산정
⑦ 7단계 - 명세서 작성
1904
5. 모니터링 계획 작성방법
① 1단계 - 조직경계의 결정
② 2단계 -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 파악
③ 3단계 -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방법
④ 4단계 -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대상 및 측정지점 결정
⑤ 5단계 -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⑥ 6단계 -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⑦ 7단계 -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계획
6. 유리 생산공장에서 유리 500t을 생산하는 데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구하시오.(단, Tier1 산정방법 활용)
- 유리의 종류 : Float type
- 배출계수 : 0.21kgCO2/kg-유리
- 컬릿 비율 : 10%
= 500t * 0.21 tCO2/t-유리 * (1-0.1) = 94.5tCO2
'자격증 > 온실가스관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6 (1) | 2022.10.29 |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5 (0) | 2022.10.28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3 (0) | 2022.10.26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2 (0) | 2022.10.25 |
[내가보려고]온실가스관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1 (0) | 2022.10.25 |
댓글